장 점
| - 소음, 진동이 적다.
- 암반의 지반에도 시공 가능
- 정밀시공이 가능하다.
- 여건에 따라 지장물의 확인 가능
| 재래식 공법의 장점을 포함하여, - 지반보강, 차수성 및 지수성 향상
- 잔류침하 방지 등으로 재해예방 및 보수 보강비 절감
- 원활한 추진성(추진속도 향상)
- 저수지나 제방의 수밀성 증대
|
---|
단 점
| - 선형 및 레벨조정이 곤란
- 조정시 상부층의 여굴발생 및이로 인한 공기손실 및 재해 발생 가능성 큼.
| - 실링재 주입을 위한 추가 공사비 발생하나 수밀성 강화, 추진력 감소 등으로 작업성이 향상되어 공사비 절감효과
|
---|
토질 조건
| | |
---|
시 공 성
| - 지하수위가 높거나 토질변화가 심할시 공기손실이 큼
| - 기존 공법에 비해 그라우팅으로 인한 주변의 차수성 향상과 지반보강으로 추진성 향상
|
---|
경 제 성
| - 선형 및 레벨조작으로 공기손실 및 공사비 과다 투입발생
| - 재래식에 비해 실링재 주입으로 인한 추가 공사비 발생하나, 지반에 대한 적응성이 좋아져 공기단축 및 품질향상 기대
|
---|
정 밀 도
| - 토질변화가 심하거나 잦은 레벨조정시 정밀도 편차 발생
| |
---|
주변 영향
| - 주변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과도한 선단부 굴착시 주변변형 우려됨
| - 강관주위의 실링재 주입으로 차수성과 지반 보강성이 향상되어 주변 영향이 최소화 됨
|
---|
적 용 성
| - 토질상태나 현장여건에 따라 건섭이 다소 있음.
| - 모든 토질에 적용가능하며 특히 저수지나 제방 등 강관 압입 후 수밀성을 요하는 지역에 효과 극대화
|
---|
공 기
| | - 주입시간이 3~6M 압입 후 후속강관의 접합(용접) 및 배토 시간 안에 이뤄지기에 공기 손실없이 재래식과 동일한 공기 또는 공기단축 시공이 가능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