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법현황 > GIP강관추진공법

그라우팅 효과 검증

1. 횡단 확인 굴착

GIP식 강관추진공법의 적용성 및 실용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 중, 그라우팅 재료가 실제로 강관주위에 제대로 주입되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GIP식 강관추진공법이 적용된 시험시공 구간에 대하여 모든 실험 종료 후 횡단으로 굴착을 하여 그라우팅 재료가 강관주변으로 어느 정도 주입이 되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그라우팅 재료의 식별을 위하여 그라우팅 재료 주입과정에서 청색 도료를 사용하여 지반과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림은 횡단면 굴착의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그라우팅 재료가 강관주변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GIP식 강관 추진공법의 특성상 그라우팅 분사가 비교적 고압분사라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두적으로 불리한 연직 상방향으로 강관으로부터 50CM 이상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자갈의 조립한 입자가 밀집되어 공동으로 비교적 크게 발생된 영역에 대해서 그라우팅 재료가 밀실하게 채워짐으로써 공동충진에 대한 역할이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료발췌 : 『GIP식 강관추진공법의 실용성에 관한 연구보고서』서울시립대 건설기술연구센터(2007. 10)  

2. GPR 탐사결과

기존 공법구간의 전자기파의 속도는 약 0.1279m/ns(1ns=10⁻⁹초)

이고 주입 후의 지반내 속도는 약 0.0973m/ns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전자기파의 속도차에 의해서 같은 심도에 위치한 강관이 데이터상에서는 주입전 심도가 약 0.85m, 주입 후 심도는 1.25m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공법구간의 강관 상단 지반에서 특이한 반사파에 대한 파형은 탐사되지 않고 있으나, GIP 공법구간은 압입강관 상단에서 다수의 작은 반사파들이 탐사되고 있다.

이는 그라우팅 재료의 입자들이 지반의 공극 등에 채워져 나타난 반사파로 판단되며 반사파의 위치 등으로 볼 때 강관 상단 약 0.7 ~ 0.8m 정도까지 주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발췌 : 『GIP식 강관추진공법의 실용성에 관한 연구보고서』서울시립대 건설기술연구센터(2007. 10)